
나의 성격 유형은? 저는 MBTI 유형 검사에서 INTJ가 나왔습니다! 주로 과학자/ 건축가형으로 표현합니다. 이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INTJ의 특징은? - 합리적이며 능력주의다. - 독창적이고 냉철하여 통찰력과 분석력이 좋다. - 논리적인 엄밀함과 객관성을 지향한다. - 순수 학문에 대한 학구열이 강하다. - 단 한 번의 잡담으로도 상대를 낮잡아 볼 수 있다. - 부조리함에 순응해가며 살아가는 것에 반문을 던지는 모습을 종종 보인다. - 일에 대해선 극도의 효율성을 따진다. - 독립적인 경향이 있으나 상호 발전적인 친구 관계를 추구한다. - 감성, 공감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타인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인간관계에서 차갑다는 비판을 많이 받는다. 이..

정기적으로 하던 철학 담화가 이번 주를 시작으로 독서토론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렇게 되어 처음으로 선정한 책은 '린치핀'입니다. 책을 읽고서 제가 느끼고 발표한 내용을 써내려 가겠습니다! '린치핀'이란? 세상이 원하는 진정한 '리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린치핀은 세상엔 없지만, 모두가 린치핀의 자질을 가지고 있다 합니다. 각자의 천재성 혹은 예술성이 바로 그 자질입니다. 사람마다 매우 다른 '나'만의 특성을 자질이라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 '나'의 자질(천재성, 예술성)은 무엇이 있을까? 새로운 시각으로 사물을 봅니다. 자존심이 셉니다. 새로운 것을 도전하기를 꺼려하지 않습니다. 책이나 문서를 읽을 때 집중을 잘합니다. 친구들이 말해 준 나의 장점 똑똑합니다. 무언가를 하려는 노력과 의지가 강합니다. ..

2020년 3월 10일 오늘의 토론 주제들: - 히키코모리가 탄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안락사를 허용해야 하는가? - 가장 아끼는 것과 가장 갖고 싶은 것을 바꿔준다면 바꾸겠는가? -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히키코모리가 탄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격상 내향적이거나 소심한 사람을 제외하고 나서는, 히키코모리는 심리적인 고통이 수반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하는 히키코모리란 성격이 내향적이지 않고, 소심하지도 않았는데 자신만의 세상에 빠져 집 안에만 있거나 사회적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을 말합니다. 이러한 심리적인 고통은 자신의 뜻과는 다르게 되는 현실이나, 혹은 극도의 스트레스 등의 이유를 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비단 애니메이션이나 컴퓨터 게임을 좋아한다고 해서 히키코모리라 하지 않습니다. 그..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매일매일을 이런 걱정 속에서 사는 것 같다. 아직까지는 뭔가를 특화되어 잘한다라는 생각도 들지 않고, 정말 간절하게 무언가를 해야겠다고 마음먹은 적도 딱히 없는 편이다. 한 번쯤은 이렇게 정리를 해 보고 싶어서 오늘 당장 해보려 한다. 나는 무엇을 잘하는가? - 수학에 대한 이해가 빠른 편이다. - 강의나 영상보다 책이나 문서의 이해도가 빠르다. - 독서를 잘한다(많이 한다). - 배움(배우고 싶은 것)을 찾는 것을 잘한다. - 논리력이 좋아서 참 거짓이나 증명을 잘한다. - 다른 사람보다 위기나 우울에서 빨리 빠져나온다. 나는 무엇을 못하는가? - 영어를 잘 못한다. - 포기가 빠른 편이다. - 나 자신에 대한 압박이 심하다. 나는 '현재' 무엇을 해보고 싶은가? - 데이터 사..

저는 뭐든지 한 번에 몰아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얕지만 최대한 빠르게 훑어본 다음에 나중에 다시 한번 보면서 복습합니다. 그렇게 하면 더더욱 기억에 오래 남고 제가 뭐가 부족한 지 알 수 있거든요. 저는 이러한 날들을 ~Challenge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이번 주말동안은 "CS Challenge를 통해 무조건 컴퓨터 공부만 해보겠다."라는 마음을 먹었습니다. 기록들은 모두 올릴 테니 잘 봐주시길 바랍니다. 2020-02-29 - 초보자를 위한 Python 300제 모두 풀기 (https://wikidocs.net/book/922) - 코드업 기초 100제 JavaScript, Java (https://codeup.kr/problemsetsol.php) (Python은 예전에 책 한 번 훑어봤었고,..

2020년 3월 5일 오늘의 토론 주제들: -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 - '눈에는 눈, 이에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내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또 나를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는 무엇인가? - 다른 문화의 요구를 어디까지 받아들여야 하는가?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은 정당한가? 만약, 다수에서의 한 사람과 소수에서의 한 사람이 동등한 입장이라 한다면 저는 소수의 희생이 정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문이 있다고 가정을 합시다. 이 앞을 지나가면 여러분은 소수일 수도 다수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당신은 소수의 희생을 정당화하실 겁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소수일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에 이를 정당화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당신이 ..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프링 부트
- 그래프
- 1992번
- 1463번
- 분할 정복
- 동적 계획법
- 일지
- 9095번
- 1780번
- 1541번
- 탐욕법
- N과M
- 정리
- 철학
- 1260번
- 브루트 포스
- 1931번
- C++
- 인간 관계론
- 11724번
- 토론
- 독서
- 잃어버린 괄호
- BFS
- 백트래킹
- 연결 요소의 개수
- 백준
- 용어
- dfs
- 2606번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